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금융

리스크 없는 투자는 없다. 투자 리스크를 이해하여 손실을 줄이자

by 느낌거리 2025. 4. 16.
반응형

리스크의 개념, 주요 종류, 관리 방법의 필요성까지 알아보자.

"주식 투자하면 무조건 돈 번다던데?"
"ETF는 안전하다니까 그냥 넣으면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은 한강물 온도를 체크하기 딱 좋은 시선이다.

 어떤 투자든 위험은 반드시 존재한다.

 이 말은 즉슨, 위험은 다룰 수 있다.

 위험을 다루는 사람이 결국 수익을 지킬 수 있다.

위험한 투자는 돈을 종이쪼가리로 찢어버릴 수 있다.


✅ 리스크란?

 내가 기대한 것과 실제 결과가 다를 수 있는 '불확실성'

 리스크는 단순히 '잃는 것'만이 아니다.

 기대한 수익보다 적을 수 있고, 예측과 다를 수 있는 상황 전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미 잃고나면 소용없다.

 

💡 예시

 민수는 안정적인 배당을 기대하며 A리츠에 투자했지만,
 예상치 못한 부동산 규제 발표로 주가가 급락했다.
 민수에게는 손실이 발생했지만, 그것은 리스크를 예측하지 못한 결과일 수도 있다.

결국 핵심은 '리스크는 피할 수 없다, 다만 줄일 수는 있다.'라는 사실

그런데 말입니다. 줄일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 투자에서 발생하는 리스크의 종류

✔️ 1. 시장 리스크

 전체 시장 분위기 변화로 생기는 손실 가능성

 예: 금리 인상, 전쟁, 경기 침체


✔️ 2. 개별 자산 리스크

 특정 기업이나 특정 ETF의 문제

 예: 실적 부진, 회계 부정, 업종 침체

일론머스큽니다


✔️ 3. 유동성 리스크

 사고팔기 어려운 자산에 투자했을 떄 발생

 예: 개잡주, 장외 주식, 거래량 적은 ETF

그것 마치 T익스프레스

 

✔️ 4. 심리 리스크

 공포, 탐욕, 불안으로 판단이 흔들려 생기는 위험

 예: 조금만 떨어져도 불안해서 손절, 반대로 고점에 추격 매수

내가 사기만 하면 떨어지는 주가

 

💡 예시

 주가가 하락하자 당황한 초보 투자자 지영은
 손해를 보고도 매도 했다.
 나중에 보니 그 종목은 며칠 후 회복했다.
 이건 '심리 리스크'로 인한 손실로 볼 수 있다.

  반대로 고점 타는것도 능력이다.

 나라면 비트코인 1천원했을 때 샀어도 백만원 되었을때 다 팔았을거다.

 약간 요런 느낌


반응형
728x90

✅ 리스크 관리 방법

1️⃣ 정보 수집 & 기본 분석

 뉴스, 기업 공시, 금리 흐름을 체크한다.

 감으로 투자하면 리스크를 통제할 수 없다.

 운에 맡겨버리면 곤란하다.

 주식은 실력도 한 몫 한다 분명...

근데 원숭이는 못이김

 

2️⃣ 투자 비중 조절

 하나의 종목에 올인하지 않기

 꼬라박아버리면 뒤가 없어진다.

 투자 비중은 내 리스크 감내 수준에 따라 직접 조절하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포트폴리오 개념 정리. 투자 초보자를 위해 왜 여러 자산에 나눠 투자하는

포트폴리오의 개념과 그것을 왜 구성해야하는지에 관하여. "주식 하나만 잘 고르면 되는 거 아냐?"  처음 투자 할 때만 해도 우량주 하나 쭉 파고자 마음먹었지 근데 시장은 늘 예측대로 움직

knownow.tistory.com

 

 

3️⃣ 리밸런싱

 일정 기간마다 자산 비중을 다시 조절하는 작업

 수익이 난 자산은 줄이고, 저평가된 자산은 늘린다

 

💡 예시

 ETF 3개에 분산 투자하여 매 분기마다 비중을 점검한다
 한 쪽 수익이 너무 올라가면 그쪽을 줄여서 전체 리스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 손절매와 분산투자의 필요성

 손절매: 더 큰 손실을 막기 위한 '출구 전략'

 주식은 코인판이 아니다.

 감정적인 결정을 피하기 위해 미리 기준을 정해둔다.

  예: "10% 이상 하락하면 무조건 매도"

 손절은 패배가 아닌 리스크 통제의 일부임을 분명히하고 가자.


 분산 투자: 다양한 자산에 나눠 담아 충격 흡수

 주식, 채권, 금, ETF 등 다양한 자산에 나눠서 투자

 하나가 하락해도 나머지에서 수익을 내면 전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초보자일수록 반드시 실천해야 할 리스크 분산 전략.

 

💡 예시

 주식 ETF 50%, 채권 30%, 금 ETF 20%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주식 시장이 조정받을 때도 전체 수익 자체는 크게 흔들리지 않는다.

 리스크는 모든 투자에 존재한다.

 이를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장, 자산 유동성, 심리 등 리스크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을 수 있으며 정보 분석, 투자 분산, 리밸런싱으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리스크는 누구에게나 있고 없애기보다 줄이는 방식으로 해결하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