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활 정보/금융45 티커(Ticker)란 무엇인가. 주식이나 ETF 검색할 때 꼭 필요하다 티커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정확한 종목에 투자할 수 있다."VOO는 뭐고, SPY는 또 뭐야. 이게 다 이름이야?"우선 결론부터 말 하자면 티커는 종목코드를 의미한다 주식이나 ETF를 검색 해 보면 낯선 알파벳 조합이 눈에 띈다. 이런걸 '티커'라 부른다. 티커가 정확히 뭘 의미하고 꼭 알아야하는건지 모르는 사람들이 있다. 오늘은 개념과 필요성, 사용법까지 알아보자. ✅ 티커란 무엇인가주식이나 ETF를 구별하는 '고유 코드 이름' 티커(Ticker)는 증권 거래소에서 특정 종목을 식별하는 짧은 코드를 의미한다. 우리가 사람 이름 대신 주민등록번호로 이 인간의 뭐시기 그 뭐냐 아이덴티티를 구별하듯, 증권시장에선 티커가 그 종목의 ID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애플(Apple): AAPL테.. 2025. 4. 13. ETF란 무엇일까. 주식처럼 사고파는 펀드. 왜 인기가 많을까 요즘 재테크 유튜버나 블로그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ETF "ETF요? 주식이랑 펀드의 중간쯤 되는 거에요?" 맞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 요즘 진짜 재테크시작 좀 해보려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데 ETF다. 하지만 개념자체가 어렵고 투자 초보자에게 개념만 늘어나니 헷갈릴 수밖에 없다. 오늘은 ETF가 정확히 뭔지, 왜 인기가 많은지, 어떻게 시작하는지까지 알아보자. ✅ ETF란 무엇인가여러 종목을 한 번에 담은 '상장지수펀드'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줄임말로,쉽게 말해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로 이해하면 된다.일반 펀드는 한 번 가입하면 중도에 사고팔기 불편하다.ETF는 주식처럼 거래소에 상장되어 실시간으로 매매 가능하다. 💡 핵심 포인트:펀드처럼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주식.. 2025. 4. 13. 복리의 힘, S&P 500 적립식 투자로 실현하기 - 초보자 가이드 전 세계 투자자들이 선택한 복리 실천법"복리로 돈을 불리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답은 의외로 간단할 수 있다. 매달 일정 금액을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것, 이게 바로 '적립식 투자' 적금. 그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상품 S&P 500에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방법은 매우 유명하다. 왜 추천되는지, 왜 해야하는지, 얼마만큼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지 알아보자. ✅ S&P 500이란?미국 경제를 대표하는 500개 기업의 주가지수 미국의 상위 500개 대형 우량기업 주가를 종합한 지수를 의미한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테슬라 같은 글로벌 리더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다.이 지수는 미국 경제의 성장률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50년 이상 연 평균 약 8~10%의 수익률을 보여주기에 장기 투자자.. 2025. 4. 12. 복리 vs 단리 차이 - 돈이 불어나는 속도가 다르다. 복리와 단리는 이자가 붙고 돈이 불어나는 방식이 다르다. 그 방식이 다름으로 인해 미래는 완전히 바뀐다. "둘 다 이자 붙는거 아닌가요?" 맞다. 둘 다 이자는 붙는다. 하지만, 이자가 붙는 방식이 다르면, 10년 뒤 내가 받는 돈이 완전히 달라지게 된다. 복리와 단리의 차이점 오늘 가져가자. 복리를 언제 이해하냐에 따라 인생이 바뀐다. ✅ 단리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 단리는 처음 맡긴 돈(원금)에만 매번 이자가 붙는 방식이다. 📌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연 5%란리로 3년간 맡기면?1년 후: 100만 원 + 5만 원 = 105만 원2년 후: 105만 원 + 5만 원 = 110만 원3년 후: 110만 원 + 5만 원 = 115만 원총 이자 = 5만 원 * 3년 = 15만 원💡 항상 원금인 10.. 2025. 4. 12. 이전 1 ··· 6 7 8 9 10 11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