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가궁금한정보/자동차 이야기

전기차 구매 시 보조금은 받을 수 있는데 의무 주행기간이 있다.

by 느낌거리 2025. 4. 4.
반응형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받는 경우, 일정 기간 의무 주행을 해야한다.

대박

 중고차를 구매 할 때 정부나 지자체의 보조금을 받는 경우,

 아니 중고차는 보조금 못받게 되어 있다.

 신차만 가능.

 신차를 구매 할 때 정부나 지자체의 보조금을 받는 경우 차량에 대해 일정 기간의무 주행 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알고 계신가용?

 이 의무 주행 기간을 이행하지 않으면 보조금 이 환수될 위험이 있답니다.

뎁악..

 


보조금 수령 조건와 의무주행기간의 개념

친환경 차량 구매 촉진

친환경, 저공해 차량 정책은 계속 달라지고 있다.

 결국 정부가 웃돈 얹어 줄 테니 환경에 부담이 없는 전기차나 친환경차를 구매하라고 권장하는것.

 내연기관보단 전기, 친환경차 구매를 촉진하기 위해 제공되는 혜택.

 누리자.

 결국 환경보호와 차량 보급을 동시에 확대하기 위해 차량 구매 비용의 일부를 지원한다는것.

728x90

 

의무 주행 기간

 보조금 수령 후 일정 기간동안 차량을 일정 거리 이상 주행해야 하는 조건으로, 이 기간동안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보조금이 환수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의무 주행기간은 차량 구매 후 1~3년 사이로 설정되며, 구체적인 기간 과 주행거리는 정부나 지자체의 정책에 따라 상이해진다.


의무 주행거리를 준수하지 않았을 경우

보조금 환수

 특히 주행거리는 총 주행 가능 거리로 볼 수 있는데, 주행 가능 거리가 일저 기준에 못 미치는 차량은 10km 당 보조금이 일정금액씩 차감된다.

 그 주행거리는 차급에 따라 차등 설정되며 중대형, 소형 등 주행거리 충족 기준이 다르다.

 예를 들어 전기차 1회 충전 시 주행가능 거리가 기준에서 30km 떨어졌다면 라면 수령액은 300만원에서 그만큼 기준 수령액에서 차감된 보조금을 받게 될 수도 있다.

 

등록 말소 시

운행 기간 보조금 회수율
3개월 미만 70%
3~6개월 65%
6~9개월 60%
9~12개월 60%
12~15개월 50%
15~18개월 40%
18~21개월 30%
21~24개월 20%
24개월~ 0%

위 표가 말하듯 어느정도 기간을 운행하지 않고 차량을 판매한다면 보조금이 환수되니 중고가에 반영 해 볼 수 있다.


의무 주행기간 준수를 위한 실천 방안

반응형

주행 기록 관리

  정확한 기록: 주행거리와 일정을 정확히 기록하여 필요 시 관련 증빙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단순히 소재지를 이전했다는 이유만으로 전기차를 판매했나? 싶어서 보조금 환수명령이 떨어진 경우도 있다.

 말도 안돼

 

주행 계획 세우기

 전기차 오너라면 주행계획 세우기는 어느정도 익숙할거다.

 특히 장거리 고려할때 충전 얼마나 하고 충전소는 어디에 있는지 등.

 또 정상적인 기간동안의 정상적인 주행을 위해 차량 점검도 주기적으로 하자.


 

전기차 구매 시 보조금 혜택은 분명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지만 의무주행 기간이라는 조건을 준수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해당 내용은 정책 업데이트에 따라 상이해 질 수도 있으니 구매 전 꼼꼼히 확인하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