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금융

포트폴리오 개념 정리. 투자 초보자를 위해 왜 여러 자산에 나눠 투자하는

by 느낌거리 2025. 4. 14.
반응형

포트폴리오의 개념과 그것을 왜 구성해야하는지에 관하여. 

"주식 하나만 잘 고르면 되는 거 아냐?" 

 처음 투자 할 때만 해도 우량주 하나 쭉 파고자 마음먹었지

 근데 시장은 늘 예측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떡락으로 개쳐맞기전 까지 다 계획은 있다.

 하나의 종목에만 집중하면 한 번 하락으로 큰 손해를 입을 수 있다.

 이런 투자 원칙에 관한 영어 속담도 있da. 'Don't put all your eggs in one basket.'

그래서 등장한 개념이 '포트폴리오'

자산을 분산해서 투자하는 전략

 

그럼 오늘도 시작 해 보자. 알아보러 레스고

포트폴리의 개념과 그것을 왜 구성해야 하는건에 대하여


✅ 포트폴리오가 뭘까 라는 건에 대하여

여러 자산을 조합해 만든 내 자산의 '구성표'

 투자에서의 포트폴리오는 내가 가진 돈을 여러 자산에 나누어 투자한 상태를 말한다.

 주식, 채권, 금, 부동산, 예금 등 다양한 자산군을 조합할 수 있다.

💡 쉽게 말하면,

"Don't put all your eggs in one basket." 이 투자 원칙을 실제로 실행하는 것

✅ 왜 포트폴리오가 중요할까 라는 건에 대하여

📉 1. 위험 분산 효과

어떤건 떨어져도 어떤건 오른다.

어떤 자산이 떨어지더라도 다른 자산이 오를 수 있다

주식 하락 시 금 가격 상승 → 전체 손실 완화

주식이 떨어진걸 금가격 오른걸로 퉁치는 느낌

➡️ 곧, 전체 수익률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반응형
728x90

 

📈 2. 꾸준한 복리 수익 달성

 변동성이 줄어들면 장기적으로 복리 수익률이 더 높게 유지된다.

 갑작스러운 손실을 방지하기 때문에 수익률 유지에 효과적인것.

 

🧠 3. 감정적인 투자 방지

 에라모르겠다 꼬라박아버리자 라는 실수를 덜 하게 된다.

 하나의 자산에만 집중하면 하락하 때의 공포로 팔게되고, 상승할 때 '가즈아' 정신으로 과욕을 부른다.

➡️ 곧,  포트폴리는 균형 잡힌 투자 습관을 길러준다.

꼬라박으러 가즈아아아아아아!!!!!!!!!


✅ 포트폴리오 구성은 어떻게하면 좋은지 라는 건에 대하여

💡 본인 투자 성향 먼저 확인하자

투자 성향 추천 구성 예시
초보자 / 안정형 예금 30% + 채권 ETF 40% + 주식 ETF 30%
일반형 주식 ETF 50% + 금 ETF 20% + 채권 30%
공격형 주식 ETF 70% + 신흥국 ETF 20 % + 금 10%

 

중요한건 균형.

내가 감당 가능한 위험 수준에 따라

리스크 자산과 안전자산의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핵심

 

💡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한 종목에 넣었다면 시장 하락 시 그대로 손실을 겪는다.

대신 주식 500만 원, 금 200만 원, 채권 300만 원 넣으면

주식이 급락해도 금, 채권이 일부 손실을 완해줘서 전체 수익률 자체는 지켜질 가능성이 높다.

 

🫡 포트폴리오 구성 시 주의사항

 1. 지나친 분산은 역효과: 너무 많은 자산에 나누면 관리자체가 어렵다.

 2. 자산 간 상관관계 확인: 주식과 주식, 채권과 채권 등 비슷한 자산은 분산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줄어든다.

 3. 정기적 리밸런싱 필요: 수익률에 따라 무너진 비중은 다시 조절해야 한다.


✅ 포트 폴리오를 구성 해 보는 건에 대하여

1. 아주 보수적인 초보자를 위한 안정형 포트폴리오

'수퍼' 겁쟁이들의 쉼터

투자 손실에 대한 불안이 큰 사람

원금 보장이 최우선인 사람

투자 시작은 해 보고 싶은데 겁부터 나는 사람

자산 종류 비율 설명
예금 / CMA 50% 유동성 확보 + 원금 보존
채권 ETF 30%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 + 낮은 변동성
국내 우량주 20% 소액으로 주식시장 경험

 손실 가능성을 최소화하며 시장 경험을 쌓는다.


2. 안정성, 수익률의 균형을 원하는 일반형 포트폴리오

 단기 자금이 아닌 1년 이상 투자 가능한 사람

 투자 수익도 어느정도 원하지만 큰 변동은 무서운 사람

자산 종류 비율 설명
채권 ETF 30% 자산 안정성 유지용
국내 주식 30% 장기 우량주 중심
해외 주식 ETF 20% 미국 S&P 500
금 ETF 10% 인플레이션 대응
예금 / CMA 10% 비상자금 / 대기자금

 상승장 하락장 모두 균형있는 대응이 가능.

 


3. 수익률 우선, 공격형 초보자를 위한 도전 포트폴리오

 20~30대 장기 투자자

 단기 수익보다 복리 기반 자산 성장을 노리는 사람

 일정 손실은 감수 가능

자산 종류 비율 설명
국내/해외 주식 ETF 70% 성장형 중심, 분산 투자 전체
금 ETF 10% 안전자산 일부 포함
채권 ETF 10% 방어적 성격의 자산 보완
CMA 계좌 10% 대기자금. 기회 포착용

 주식 비중이 높기 때문에 장기 보유 시 높은 수익률 기대 가능.


투자에서 수익만큼 중요한게 손실을 피하는 것, 자산을 지키는 것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 자체가 자산을 지키는 방어선이 될 수 있다.

 어떻게 조합해서 살까 자체도 투자의 재미요소중 하나이니 꼭 개념을 이해하고 가자.

  •  여러 자산을 조합 해 투자 위험을 분산하는 작전
  •  변동성 완화 + 장기수익률 유지에 효과적
  •  투자 성향에 따라 구성 비율 조정 가능
  •  리스크가 큰 자산과 안전자산의 밸런스를 챙기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