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상품 가입 전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 용어 5가지
"예금, 적금, 이자율... 말은 많이 들어봤는데, 뭐가 뭔지 모르겠다."
처음 금융상품 가입하려고 은행 앞에 앉으면 뭐가 뭔지 하나도 모르겠다.
뭐 기준금리니 만기는 언제냐느니,
대충 고개는 끄덕였는데 이건 대충 이해하면 안되는거잖아.
돈이 왔다리갔다리 하는데..
오늘은 기본 개념을 확실하게 가져가자.
✅ 사례: 아무것도 모르고 가입한 태호의 첫 적금
💸 "이율 3%라면서요? 근데 왜 돈이 생각보다 안 늘어요?"
대학생 태호는 부모님의 권유로 생애 첫 적금에 가입했어요
직원은 "이율 3%"라고 설명했고, 태호는 '3%면 괜찮지.' 라고 생각했죠.
하지만 만기 후 확인해보니 이자는 생각보다 훨씬 적었습니다.
알고 보니 '복리'가 아니라 '단리'였고, '세전 이율'이라 실 수령액은 더 적었죠.
금융 용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시간에 비해 들인돈을 불리기가 어렵다.
기대와 결과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는 것.
오랜 시간들여 돈 모을거면 제대로 효율좋게 모아야 하지 않겠나.
✅ 1. 이자율 (금리)
돈을 얼마나 불려주는지를 나타낸 수치
이자율은 금융상품에 넣은 돈이 얼마나 이자가 붙는지를 %로 나타낸 숫자.
예를 들어,
연 이자율 2% = 100만 원을 1년 맡기면 2만 원 이자 발생.
💡 주의!
- 단리; 원금에만 이자가 붙음
- 복리: 이자에도 이자가 붙어 이자가 더 많아짐
- 세전 이율: 세금 떼기 전 수치. 실 수령액을 더 적어질 수 있다.
✅ 2. 만기
약속한 기간이 끝나는 날
금융 상품의 가입 기간이 끝나는 날짜.
예륻 들어,
1년 짜리 적금을 가입했다면, 12개월 후가 만기일이 된다.
적금 타러가자~
💡주의!
- 만기 전에 해디하면 '중도해지 이율'이 적용된다. 이자가 매우적다.
- 약정한 날짜까지 유지해야 약속한 이자를 다 받을 수 있다.
✅ 3. 예금 vs 적금
둘 다 돈을 맡기는 건데, 방식이 다르다.
예금: 목돈을 한 번에 넣고, 기간 동안 보관
적금: 매달 일정 금액을 나눠서 넣는 상품
예를 들어,
예금: 1년간 500만 원 맡김 -> 이자 발생
적금: 매달 50만 원 씩 1년간 납임 -> 매달 금액이 쌓이며 이자 발생
예금은 목돈이 있는 사람에게,
적금은 매달 월급에서 일정 금액을 저축하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된다.
✅ 4. 세금 우대 / 비과세
이자에서 떼는 세금을 줄여주는 혜택
금융상품에 이자가 생기면 세금(15.4%)이 붙는다.
하지만, 비과세나 세금 우대 상품을 이용하면 이 세금을 줄일 수 있다.
- 100만 원을 맡겨 1만 원 이자가 생기면 -> 세금 1,540원 떼고 8,460원 수령
- 비과세 상품이라면 -> 1만 원 수령
이 혜택은 꽤나 유용해서 청년도약계좌나 정부에서 주관하는 상품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 5. 실효이율, 실효금리, 실효이자율
실질적으로 내가 받게되는 '진짜 수익률'
명목이율은 겉으로 보이는 숫자
실효이율은 세금, 복리, 적립방식 등을 반영한 실제 수익율
- 명목이율은 3%인데,
- 월납형 적금 + 세금 포함 + 단리 -> 실제로는 1.7%수준의 이자율일 수 있다.
상품에 따라 실효이율이 다르니 반드시 비교해 봐야 한다.
모르면 손해, 알면 이득!
용어 하나만 정확히 이해해도 이자 수익이 몇 배 차이 날 수 있다.
그로 그럴게 똑같은 돈을 넣어도 비과세에 복리 상품에 넣는거랑 그렇지 않은거랑 천지차이 난다.
돈이 쌓이면 쌓일수록 복리의 힘은 대단해진다.
얼른 복리의 개념을 이해했으면 좋겠다.
그 전에 기본 개념부터 스스로 알고 가입하는게 내 돈을 제대로 지키고 불리는 첫걸음이 아닐까.
'생활 정보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동금리 vs 고정금리 차이. 대출이나 예금시 꼭 알아야 한다 (0) | 2025.04.12 |
---|---|
기준금리란? 경제 뉴스에 자주 나오는 말 쉽게 이해하자. (0) | 2025.04.12 |
리볼빙이 뭐에요? 신용카드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진짜 의미와 위험성 (1) | 2025.04.12 |
체크카드 vs 신용카드 차이. 뭐가 더 좋을까 (0) | 2025.04.12 |
신용점수 올리는 생활 습관 5가지. 빨리 올리기 천천히 올리기 (0) | 2025.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