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금리와 고정금리 두 가지 방식이 어떻게 다르고 어떨 때 유리한지 알아보자.
"처음에는 이자가 낮았는데, 점점 올라요..."
대출을 받아본 사람이라면 이런 경험, 한 번쯤 해 봤을거다.
이게 바로 '변동금리'의 특징이다.
말 그대로 금리가 변동된다고
반대로, 처음 계약한 금리가 끝까지 유지되는건 '고정금리'의 특징이다.
무조건 뭐가 좋다 나쁘다는건 절대 아니고 지금 상황에 맞는 방식이 맞다.
그게 언젠지 오늘 알아보자.
✅ 변동금리란?
기준금리에 따라 '이자율이 계속 바뀌는 금리'
변동금리는 말 그대로 금리가 변할 수 있는 방식이다.
기준금리(한국은행 발표)나 시장 금리에 따라
기준금리란? 경제 뉴스에 자주 나오는 말 쉽게 이해하자.
기준금리가 무엇인지, 우리 실생활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자."기준금리가 올랐습니다." 뉴스에서 심심하면 들리는 말, 도대체 기준금리가 뭔데 중요한걸까 금리 하나가 오르고 내리는게
knownow.tistory.com
일정한 간격으로 이자율이 조정된다.
예를 들어, 대출을 받을 당시 금리가 3%였지만,
기준 금리가 오르면 나의 이자도 4%, 5%로 떡상한다.
와우~
대출금이 늘어나요~
✅ 고정금리란?
계약한 시점의 금리를 '끝까지 유지하는 방식'
고정금리는 처음 계약할 때 정한 금리가 기간이 끝날 때 까지 고정되는 방식이다.
이자율이 오르든 내리든, 나는 처음 정한 금리만 계속 적용된다.
이는 곧 장점이자 단점이 되는데 금리 변동에 불안할 필요가 없다는 것.
예를 들어,
5년 고정 금리 3.5%로 대출을 받으면
5년 동안 금리가 아무리 변해도 항상 3.5%만 부담하면 된다.
근데 변동 금리로 최초 계약시 3.5%였다가
금리가 갑자기 변해서 0.1%가 되었대.
눈물이 앞을 가린다.
✅ 사례; 변동금리를 택한 유진, 고정금리를 택한 지훈
💸 같은 시기에 대출받았는데, 2년 뒤 차이가 났어요
유진과 지훈은 각각 1억 원의 주택담보대출을 받았습니다.
유진: 처음엔 금리가 낮았던 변동금리를 선택.
지훈: 이자 부담이 좀 더 있지만 안정적인 고정금리를 선택.
2년 후 기준금리가 1.5%올라가면서
유진의 이자는 매달 15만 원 이상 증가했고,
지훈은 변함없이 매달 같은 금액을 낼 수 있었습니다.
반대로 금리가 낮아지면 변동금리를 선택했을 경우 이자 부담이 낮아진다는 경우도 생각해야 한다.
✅ 변동금리의 장단점
✔️ 장점
- 초기 금리가 고정금리보다 낮아 초반 부담이 적다.
- 금리가 내려가면 이자도 줄어들 수 있다.
❌ 단점
- 금리가 오르면 이자도 함께 오르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크다
- 장기 대출 시 리스크가 커진다 (특히 금액이 큰 주택담보대출 등)
✅ 고정금리의 장단점
✔️ 장점
- 금리가 오르더라도 이자가 올라가지 않음.
- 예측 가능한 지출 관리 가능
❌ 단점
- 초기 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
- 금리가 내려가도 내 이자는 그대로 유지된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금리를 선택해야 할까
🧐 내상황이 어떤지 확실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변동금리가 유리한 경우
- 금리가 당분간 내릴 가능성이 클 때
- 단기 대출(1~2년)로 빨리 갚을 수 있을 때
- 이자 부담을 당장 줄이고 싶을 때
고정금리가 유리한 경우
- 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높을 때
- 대출 기간이 길어질 때( 5년 이상)
- 매달 지출 금액을 예측하고 싶을 때
금융 환경은 항상 변한다.
기준금리도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검토되어 변동될 수 있다.
그러면 반대로, 금리 방식 하나만 잘 선택해도 수백만 원 차이가 날 수 있다는 말.
변동금리는 유연하지만 불안정하고
고정금리는 안정적이지만 초기 부담이 클 수 있다.
둘 방식을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하자.
- 변동금리: 기준금리에 따라 이자율이 변하는 방식
- 고정금리: 처음 정한 이자율이 만기까지 유지되는 방식
'생활 정보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리의 힘, S&P 500 적립식 투자로 실현하기 - 초보자 가이드 (0) | 2025.04.12 |
---|---|
복리 vs 단리 차이 - 돈이 불어나는 속도가 다르다. (0) | 2025.04.12 |
기준금리란? 경제 뉴스에 자주 나오는 말 쉽게 이해하자. (0) | 2025.04.12 |
금융상품 가입 전 꼭 알아야 하는 필수 용어. 쉽게 이해하자. (0) | 2025.04.12 |
리볼빙이 뭐에요? 신용카드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진짜 의미와 위험성 (1) | 2025.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