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리와 단리는 이자가 붙고 돈이 불어나는 방식이 다르다.
그 방식이 다름으로 인해 미래는 완전히 바뀐다.
"둘 다 이자 붙는거 아닌가요?"
맞다. 둘 다 이자는 붙는다.
하지만, 이자가 붙는 방식이 다르면, 10년 뒤 내가 받는 돈이 완전히 달라지게 된다.
복리와 단리의 차이점 오늘 가져가자.
복리를 언제 이해하냐에 따라 인생이 바뀐다.
✅ 단리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
단리는 처음 맡긴 돈(원금)에만 매번 이자가 붙는 방식이다.
📌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연 5%란리로 3년간 맡기면?
- 1년 후: 100만 원 + 5만 원 = 105만 원
- 2년 후: 105만 원 + 5만 원 = 110만 원
- 3년 후: 110만 원 + 5만 원 = 115만 원
총 이자 = 5만 원 * 3년 = 15만 원
💡 항상 원금인 100만 원에만 이자가 붙는다.
✅ 복리
이자에 또 이자가 붙는 방식
복리는 이자까지도 원금처럼 취급한다.
다음 해엔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구조.
쉽게 말해, 돈이 눈덩이처럼 커지는 방식.
스노우 볼
📌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연 5% 복리로 3년간 맡기면?
- 1년 후: 100만 원 * 1.05 = 105만 원
- 2년 후: 105만 원 * 1.05 = 110.25만 원
- 3년 후: 110.25만 원 * 1.05 = 115.76만 원
총 이자 = 15.76만 원
💡해마다 이자가 점점 커진다.
이게 적립되는 금액이 커지고 원금이 커질수록 돈이 붙는 그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진다.
✅ 단리 vs 복리의 비교
단리 | 복리 | |
이자 적용 대상 | 원금에만 적용 | 원금 + 이전 이자 |
이자 증가 | 일정하게 늘어남 | 시간이 지날수록 더 빠르게 증가 |
3년 후 예시 | 115만 원 | 약 115.76만 원 |
10년 후 예시 | 150만 원 | 약 162.89만 원 |
시간이 길어질수록 복리의 차이는 폭발적으로 커진다.
적립식 복리 계산기 - Fical.net
적립식 복리 계산기는 정기적으로 추가 투자금을 납입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미래의 투자 수익금을 계산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fical.net
복리 계산기를 통해 복리의 힘을 체감 해 보자.
돈을 적립하는 기간이 늘 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 사례: 똑같이 100만 원 넣은 수민이와 준호
👩 수민 - 단리 적금 가입
- 연 8% 단리로 20년간 매 월 100만 원을 넣었어요.
- 20년 후 받은 금액: 원금 240,000,000원 + 이자 192,800,000원 = 세후 약 403,108,800원
이자수익 약 2억원 발생.
👨 준호 - 복리 적금 가입
- 연 8% 복리로 20년간 매 월 100만 원을 넣었어요.
- 20년 후 받은 금액: 원금 240,000,000원 + 이자 352,947,218원 = 세후 약 538,593,347원
이자수익 약 3억5천만원 발생.
🫡 같은 돈을 넣었지만 준호는 거의 1.5배 이상 더 받았다.
시간이 길어질수록, 복리는 점점 더 많은 이자를 만들어 낸다.
이제 복리의 개념은 간단히 이해했다.
그럼 복리 상품에 투자를 해야겠지?
✅ 단리 vs 복리,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정답: 복리를 활용하자.
- 단리: 단기 상품, 예측이 쉽다
- 복리: 장기 상품일수록 이자 효율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요즘 은행 적금은 대부분 단리지만,
청년 우대형 청약, 장기 투자, ETF, 연금 등 복리구조가 적용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가능하다면 복리형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이득이다.
투자에는 정답이 없다지만
복리에는 정답이 있다.
돈을 굴릴 때는 '방식'을 먼저 보자.
복리는 단순한 수학 개념이 아니다.
이자를 다시 투자해서 이자를 버는 구조이고,
그 효과는 당연히 시간이 지날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
복리는 시간이 내 편일때 엄청난 차이를 만든다.
복리를 이해하자.
- 단리: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
- 복리: 원금 + 이자에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
- 시간이 길 수록 복이의 이익은 폭발적으로 커진다
- 장기 상품은 복리 선택이 정답이다
'생활 정보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란 무엇일까. 주식처럼 사고파는 펀드. 왜 인기가 많을까 (0) | 2025.04.13 |
---|---|
복리의 힘, S&P 500 적립식 투자로 실현하기 - 초보자 가이드 (0) | 2025.04.12 |
변동금리 vs 고정금리 차이. 대출이나 예금시 꼭 알아야 한다 (0) | 2025.04.12 |
기준금리란? 경제 뉴스에 자주 나오는 말 쉽게 이해하자. (0) | 2025.04.12 |
금융상품 가입 전 꼭 알아야 하는 필수 용어. 쉽게 이해하자. (0) | 2025.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