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법 적용 유무에 따라 금융권별 차이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금융권은 제1, 제2, 제3 금융권으로 나뉘지만 이는 공식적인 용어가 아니다.
언론에서 편의를 위해 구분하여 명명한 것.
제1 금융권은 인터넷 전문 은행, 특수은행, 지방은행, 외국계 은행 등 일반적인 은행에 해당한다.
정식 명칭으로 구분되지 않고 일상에서 편의를 위해 구분되는 제1, 2, 3 금융권이란 말의 차이와 그 은행의 종류를 알아보자.
제1 금융권
예금은행
은행법의 적용을 받는다.
1 금융권은 한국 금융기관의 예금은행을 통틀어 말한다.
흔히 일상에서 접하는 은행을 떠올리면 될 것 같다.
특히 자금의 중개업무를 담당하며 그저 일반적인 은행. 신한, 기업, 국민, 우리, 하나, SC제일, 시티, 농협, 한국산업은행 등 잘 알려진 은행이 제1 금융권에 해당한다.
예금의 금리는 낮지만 대출 금리도 낮아 안정적인것이 특징이다.
또, 안정적인 이유는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는데 원금과 이자를 포함해 5,000만 원까지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것.
제2 금융권
비화폐 금융 기관. 사금융.
예금자금 공급으로 인한 신용을 창출할 수 없는 금융기관이 해당한다.
화폐 금융, 예탁은행이 아닌 금융기관을 비화폐 금융기관이라고 부르며 제2 금융권이 이에 해당한다.
개발, 투자, 저축기관이 포함되며 간접금융에 해당한다.
간접금융은 자금의 공급, 수요자 사이에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이 개입하여 중개하는 것을 말한다.
개인이 은행에 예금하고 은행이 기업에 채권을 구입하는 경우가 포함된다.
금융기관이 기업 내부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에 신용위험도를 줄일 수 있다.
가장 큰 특징은 은행법이 적용되지는 않는것에 있다.
하지만 금융에 관련된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예금금리가 높고 동시에 대출 금리도 높아 안정성이 낮다는 특징이 있다.
1금융권의 예금자 보호법도 제한적용되거나 받지 못할 수도 있다.
1 금융권과 2 금융권의 차이
금융상품의 종류
1금융권은 가장 일반적인 은행으로 안정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은행이다.
많은 사람이 방문하기 때문에 다양한 금융상품을 취급하고 있으며 그만큼 다양한 거래를 한 번에 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안정적인 만큼 예금금리가 낮으며 대출조건을 만족시키기도 비교적 어렵다.
안정성
2금융권은 대출 조건이 완만하여 쉽게 대출조건은 만족시킬 수 있다.
하지만 그 만큼 대출 금리가 높다는 것이 특징.
결국 안정성도 떨어진다는 것.
금리
1. 대출 금리
일반적으로 1금융의 금리가 낮고 안정적이다. 하지만 대출 심사가 어렵다.
신용대출의 경우 1금융권의 평균 대출 금리는 연 3%대에 달한다.
2금융권 저축은행의 같은 조건 대출 금리는 연 7%에 달한다.
마이너스 대출의 경우도 비슷하게 차이가 난다.
2. 예적금 금리
대출과 동일하게 일반적으로 1금융권에서의 금리가 낮고 안정적이다.
예금자 보호 제도도 1금융권은 적용된다.
6개월 정기예금의 경우 가장 높은 금리가 1% 초반대에 달하지만 2 금융권 은 3%에 달한다.
12개월 정기예금의 경우 1금융권은 1.5%, 2 금융권은 3.5%에 달하며 금리 차이가 존재한다.
결국 두 금융권을 결정할 때 금리차이와 안정성을 잘 고려해야 한다는 것
2 금융을 선택하는 경우
예적금 기간이 짧고 높은 수익을 원할 때
2금융권이 1 금융권보다 금리가 높기에 단기간에 비교적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만기 시 세후 이자가 1 금융권 50만 원, 2 금융권 1백만 원의 정도로 크게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예적금 기간이 길 수록 금리차이가 줄어들기에 1금융권을 선택하여 예금자보호제도의 보호를 받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신속한 대출을 원할 때
2금융권은 보다 대출 심사 조건이 높지 않다.
때문에 신속한 대출을 받고 싶을 때 선택할 수 있다.
심사조건이 까다롭지 않기에 신용 등급이 낮거나 담보가 없어도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온라인신청도 간편하기에 시간과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하지만 대출 금리가 1 금융권에 비해 높고 신용점수에 영향이 클 수도 있으니 잘 비교해야 한다.
특정목적에 맞는 상품을 원할 때
2금융권은 1 금융권보다 다양한 상품을 제공한다.
때문에 주택구입자금대출, 자동차구입자금대출, 교육자금대출 등 내가 원하는 상품을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험회사에서는 생명보험, 손해보험, 연금보험 등의 상품도 제공하고 있다.
제1금융권, 제2금융권은 편의상 미디어에서 지칭하는 표현이며 은행법 보호유무에 따라 구분된다.
가장 간단하게는 금리차이로 이 둘을 설명할 수 있으며 1 금융권의 금리가 비교적 낮은 만큼 안정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자신의 상황에 따라 상품의 종류에 따라 금리의 정도에 따라 은행을 선택하여 합리적으로 금융상품을 이용하자.
'우리가궁금한정보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례보금자리론 신청방법 대출한도 금리 (0) | 2023.07.13 |
---|---|
교통비 월 약 6만원 아끼기. 알뜰교통카드 발급 시작 (0) | 2023.07.07 |
보험 한방에 저렴한 곳 비교하고 가입까지 온라인에서 (0) | 2023.07.06 |
만나이 통일? 연나이? 오해하지말자 (0) | 2023.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