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9

파킹통장. 단기 자금에 특화된 통장. CMA와 비교까지 돈은 안전하게 보관하고 이자도 받고싶은 사람들을 위한 통장"돈을 좀 맡겨두고 싶은데, 예금은 묶이고, 입출금통장은 이자가 거의 없고..."그래서 나온게 파킹 통장.짧은 기간동안 안전하게 보관하면서도 이자를 받고 싶은 사람들.하루만 맡겨도 이자 지급, 언제든 자유로운 입출금.비상금, 월세 보증금, 투자 대기자금 등 자금관리목적으로 사용해도 딱. 단기 목돈 관리에 인기 있는 CMA계좌. 예금보다 유연한 스마트 통장이자도 챙기고 필요할 땐 바로 출금도 가능한 계좌"당장 쓰지 않을 돈, 은행에 넣자니 이자가 너무 약하고,투자하자니 위험한 것 같고... 그럼 어디에 둬야 할까?"그렇다면 잘 찾아오셨당께이럴knownow.tistory.com CMA 계좌와 비슷한 개념인데 자세한건 위 포스팅에서 확인하고 오자. CM.. 2025. 4. 14.
체결? 호가창? 주식거래소에 나오는 실전 용어 쉽게 정리 주식을 사거나 팔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체결' 관련용어들 체결, 미수수량, 호가창, 장전거래, 체결강도... 실제로 주식을 사고 팔 때 가장 자주 마주치게 되는 기본 용어. 요 내용 오늘 알아보자. ✅ 체결과 미수수량 - 내가 산 주식이 실제로 거래되었을까? ✔️  체결주식 주문이 실제로 거래되었다.내가 삼성전자를 1주에 70,000원에 사고싶다고 주문 → 누군가 70,000원에 팔고 있었다면 → 체결 완료즉, 체결 = 주문이 '성공'해서 거래가 이루어진 상태 ✔️ 미체결 주문을 넣었지만 아직 체결되지 않은 미수수량 내가 10주를 사려고 주문했는데 6주만 체결되었다면, 나무지 4주는 미수수량으로 남아있다. 호가 조건에 따라 주문이 부분만 체결될 수 있고 남은 수량이 미체결로 남아 있다. ✅ 호가 / 호.. 2025. 4. 14.
포트폴리오 개념 정리. 투자 초보자를 위해 왜 여러 자산에 나눠 투자하는 포트폴리오의 개념과 그것을 왜 구성해야하는지에 관하여. "주식 하나만 잘 고르면 되는 거 아냐?"  처음 투자 할 때만 해도 우량주 하나 쭉 파고자 마음먹었지 근데 시장은 늘 예측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하나의 종목에만 집중하면 한 번 하락으로 큰 손해를 입을 수 있다. 이런 투자 원칙에 관한 영어 속담도 있da. 'Don't put all your eggs in one basket.'그래서 등장한 개념이 '포트폴리오'자산을 분산해서 투자하는 전략 그럼 오늘도 시작 해 보자. 알아보러 레스고 ✅ 포트폴리오가 뭘까 라는 건에 대하여여러 자산을 조합해 만든 내 자산의 '구성표' 투자에서의 포트폴리오는 내가 가진 돈을 여러 자산에 나누어 투자한 상태를 말한다. 주식, 채권, 금, 부동산, 예금 등 다양한 자산군.. 2025. 4. 14.
단기 목돈 관리에 인기 있는 CMA계좌. 예금보다 유연한 스마트 통장 이자도 챙기고 필요할 땐 바로 출금도 가능한 계좌"당장 쓰지 않을 돈, 은행에 넣자니 이자가 너무 약하고,투자하자니 위험한 것 같고... 그럼 어디에 둬야 할까?"그렇다면 잘 찾아오셨당께이럴 때 가장 많이 추천되는게 바로 CMA계좌다그럼, 이 통장이 왜 목돈 관리에 추천되는지 레스고 ✅ CMA 계좌란?돈을 잠깐 맡겨두면서 '이자 수익'을 챙길 수 있는 증권사 통장.Cash Management Account.현금 관리 계좌.증권사에서 만든 통장예치금을 단기 금융 상품에 투자 해 이자를 지급.수시 입출금 가능 + 하루만 맡겨도 이자 발생➡️ 은행 입출금 통장의 편리함 + 적금처럼 이자 받는 통장 이자는 매일 지급된다. 일반적인 금융상품과 CMA의 가장 큰 차이는 매일 이자를 지급한다는 것에 있다. 은행 보통.. 2025. 4. 14.
투자하면 세금도 내야 한다. 국내 해외 주식투자 세금 기초 국내 주식, ETF, 해외 주식 투자 시 기본 세금이 발생한다."수익 나면 전부 내 돈 아니었어?"아니다.투자 기간과 금액에 비례하여 커진다.이익이 생기면 세금이 붙는다.게다가 상품에 따라 세금 종류도 다르다.언제, 어떻게 내야 하는지 모르면 갑자기 예상도 못한 세금 폭탄을 맞는다. ✅ 주식 투자 시 세금은 언제 발생하는지수익이 생길 때.대표적인 세금 종류는 3가지로 좁혀진다. 언제 발생하나?대표 예시양도소득세주식이나 ETF를 팔아서 수익이 났다해외주식, 해외 ETF 매매 차익배당소득세매당금(현금, 주식)을 받을 때배당주, ETF 배당, 리츠 수익거래세주식을 사고팔 때마다 자동 부과국내 주식 매매, 거래 당일 즉시거래세는 ETF매도 시 면제될 수있다.즉, "주식이나 ETF를 팔거나, 배당을 받았을 때" .. 2025. 4. 14.
주식 앱에서 매수 매도는 어떻게 하는걸까 주문 종류까지 쉽게 설명 매수 매도 시 접하게 되는 각종 주식용어들 정확히 확인하고 가자."삼성 전자좀 사볼까"하고 주식 앱을 켜봤는데....매수, 매도는 기본이고 지정가, 시장가, 조건부지정가, 시간외 단일가뭔 버튼이 이래 많냐나는 그냥 사고 싶다고내물건 내놔~뭐가 뭔지 알아야 사지.. 일단 오늘은 기본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주식 사려면 최소한을 알아봅시당.이제 시작이에용 ✅ 매수와 매도, 먼저 개념부터 잡자. 🟢 매수: 주식은 '산다' 내가 특정 기업의 주식을 '사겠다'고 주문을 넣는다. 매수 가격 * 수량 = 투자금예: 주가 70,000원 삼성전자를 3개 사고 싶다 → 70,000원 * 3개 = 210,000원 필요  🔴 매도: 주식을 '판다'주식을 푸바오 한다.이미 보유 중인 주식을 시장에 내놓고 파는 것.시장에 내놓.. 2025. 4. 14.
안전자산. 위기에도 버티는 투자처. 대표자산 종류 안전자산은 투자에 대해 이야기 할 때 꼭 등장한다"불안해서 주식은 못 하겠고, 돈은 어디에 두면 안전할까요?"이럴 때 사람들이 찾는 게 바로 '안전자산'이다. 투자는 위험한 만큼 수익률도 크고 하던데.. 안전자산은 왜 투자할까. 정확히 뭐가 안전한건지, 왜 안전한건지, 안전하니까 무조건 괜찮은건지그 개념과, 종류, 주의사항까지 알아보자. ✅ 안전자산이란? 💡 돈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금고같은 투자처 경제 불황, 금융 위기, 주식 시장 급락 등의 상황에서도 가격 변동이 작거나, 오히려 수요가 늘어난다.즉, 불안할수록 더 빛나는 자산이라고도 한다. 💬 결국 풀어서 말하면,"원금 손실 위험이 낮고, 위기 상황에서도 가치가 유지되는 자산  KRX 금현물. 안전하게 금에 투자하는 가장 쉬운 방법한국거래서에서 주.. 2025. 4. 13.
ETF 수수료와 세금. 투자 전 반드시 알아야한다. ETF 마다 수수료 구조도 다르고, 세금도 국내냐 해외에 따라 달라진다.ETF(상장지수펀드)에 투자할 때 수수료와 세금을 간과하지 말라."ETF는 수수룍가 거의 없지 않나요?""세금은 주식처럼 안 내도 되나요?"사실 ETF는 '간편한 투자'라는 장점 때문에 소액으로도 많이 투자한다.소액에 붙는 세금은 그렇게..의미있는 금액은 아니기에 많이들 간과한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비용(수수료)과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세금 구조를 이해하는것은 분명 필요하다.진짜 수익률을 지키기 위하여. ✅ ETF의 수수료2가지 수수료가 있으며 간단하지만 꼭 체크 하자1. 운용보수 ETF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에 내는 관리비용 ETF가격에 이미 반영되어 있다. 따로 관리비용 항목으로 빠져나가진 않지만 이는 분명 장기투자 시 복리 수익.. 2025.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