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은 왜 생기고 어떤 갭이 좋은 신호고 어떤 갭은 조심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차트에 갑자기 뜬금없이 구멍이 생겼어요!"
"전날 종가랑 오늘 시가 사이가 왜 떨어져 있죠?"
주식 차트를 보면 어떤 날은 주가가 확 점프한것처럼 빈칸이 생겨있다.
또 어떤날은 뚝 떨어져서 공백이 생겨있다.
이게 바로 갭이다.
이는 매우 중요한 신호다.
✅ 갭 발생의 원인
장 마감, 개장 전 '새로운 정보'가 시장을 먼저 움직인다.
갭은 단순히 '주가가 갑자기 튀었다'에서 끝날게 아니다.
시장 참여자들이 갖고 있는 '기대심리/공포심리'가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장중 거래 시간 동안은 시세가 실시간으로 변동하니까 갭이 잘 생기기 않는데,
장 종료후나 다음날 개장 전 사이에 생긴 이슈때문에
매수/매도 주문이 시가부터 급하게 몰리기 때문에 갭이 발생한다.
요 매수 1호가 2,975원에 19개 밖에 안남아 있는데 누가 주문을 1,000개 확 넣었다고 생각해보자.
그럼 수량이 확 빠져서 바로 매수3호가인 2,965부터 시작하는 갭이 생겨버린다.
반대로 2,980원인걸 20,000주를 매수했다 치면 59초가 넘어버릴 때에 매도 1호가는 2,990원이 되어버려 중간에 또 갭이 생겨버린다.
대표적인 갭 발생 요인
발생 원인 | 설명 |
기업 실적 발표 | 예상보다 실적이 좋으면 갭 상승, 나쁘면 갭 하락 |
뉴스, 이슈 | 정책 변화, 금리 이상/인하, 환율 변동, M&A 등 다양한 이슈 |
글로벌 증시 영향 | 미국 주가 지수 급등/급락 등, 해외 증시의 영향을 그대로 반영하려는 움직임 |
투자자 심리 변화 | 시장 전반에 대한 기대감이나 공포감 확산은 곧 대기 매수/매도세가 급증한다 |
수급 이슈(기관/외국인 동향) | 대규모 매수/매도 주문이 개장 전부터 들어오며 주가를 튀게 만들기도 한다 |
갭, 그것 마치 표정의 변화.
밤 사이에 일어난 사건 때문에 다음날 아침 기분이 확 달라져 있는 주식의 표정변화라고 볼 수 있다.
평범하게 끝난 어제가, 오늘 아침 완전히 다른 분위기로 시작된다.
마치 직장인의 일요일과 월요일 사이의 갭
➡️ 그래서 갭은 뉴스보다 빠른 시장의 반응이라고 볼 수도 있다.
✅ 갭 상승 - 시가가 전날 종가보다 높은 가격에서 시작
강한 매수심리 / 호재 반영
갭 상승은 전일 종가보다 오늘 시가가 높게 시작한 경우다.
주로 장 시작전 긍정적인 뉴스나
예상치를 뛰어넘는 실적 발표, 정책 수혜 등으로 인해
매수 대기 수요가 폭발하면서 시초가가 점프하게 된다.
이런 갭 상승은 상승장의 시작 신호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단순히 과열된 상태라면 단타 수요가 몰려서 고점찍고 밀리는 경우도 많다.
- 갭 상승 + 장대 양봉 마감 = 진성 매수세
- 갭 상승 + 음봉 전환 = 갭 메우기 가능성
✅ 갭 하락 - 시가가 전일 종가보다 낮게 시작
강한 매도심리 / 악재 반영
전일 종가보다 시가가 낮게 시작한 경우다.
주로 악재뉴스, 실적 부진, 시장 전체 하락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투자자들이 장 시작 전에 매도 주문을 쏟아내서
아예 낮은 가격에서 거래가 시작되는 경우.
이럴 때는 무조건 휩쓸리기보다는
갭 하락 후 매수세가 들어오는지를 봐야 한다.
특히 장중 저점 부근에서 아랫꼬리가 달리는 경우는 반등 가능성도 염두에 둘 수 있다.
- 갭 하락 + 긴 아랫꼬리 = 기술적 반등 가능성
- 갭 하락 + 음봉 마감 = 하락 추세 이어질 가능성
✅ 갭 메우기 - 갭을 다시 채우는 움직임
생긴 갭은 채워질 수도 있다.
갭이 생긴 뒤 시간이 지나 다시 그 공백 가격을 통과하는 현상
이 때, 전략은 "갭은 언젠가 메워진다"는 전제를 두고 매매전략을 세운다.
갭 종류 | 메워질 확률 | 참고 |
과열성 갭 상승 | 메워질 가능성 있음 | 단기 급등 후 눌림목 구간 발생 가능성 있음 |
실적 호재성 갭 상승 | 메워지지 않고 돌파 지속 가능 | 강한 상승 추세의 시초가 된다. |
공포성 갭 하락 | 기술적 반등 후 메워질 가능성 있음 | 과매도 상황에서는 반등 기대 |
✅ 갭만보고 매수/매도는 금물
반드시 캔들과 함께 봐야 한다.
- 갭 상승 후 양봉 마감 + 거래량 증가 = 신뢰도 높은 매수 신호
- 갭 상승 후 음봉 전환 + 거래량 증가 = 오히려 매도세가 증가할 수도
- 갭 하락 후 아랫꼬리 달린 양봉 = 반등 기대 가능
- 갭 하락 후 음봉 지속 = 하락 추세 진입 우려
또, 이동평균선과의 거리(이격도)가 클수록 추세 지속 가능성보다 되돌림 가능성이 커지니 주의하자.
갭은 차트의 우연이라고 보기 어렵다. 장외시간동안 벌어진 사건이나 이슈, 발표, 심리 변화가 주가를 점프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이는 실적 발표 시즌이나 글로벌 이슈가 많을 때 발생하는 분명 우연은 아니다.
'생활 정보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평균선과 골든크로스로 보는 매수타이밍 포착 방법 (0) | 2025.04.20 |
---|---|
지지선과 저항선. 매수 매도 타이밍을 잡는 핵심 (0) | 2025.04.20 |
캔들 차트 읽는 눈을 키우자. 몸통, 꼬리 시장 심리 정리 (0) | 2025.04.20 |
공매도. 빌려서 파는 이상한 투자법? (0) | 2025.04.20 |
괴리율과 추적오차. ETF 투자자가 알아야 할 오차의 진실 (0) | 2025.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