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가궁금한정보/자동차 이야기

중고차도 연말정산 가능하다. 구입 시 공제조건, 세금혜택 정리

by 느낌거리 2025. 4. 12.
반응형

 중고차도 연말정산이 될까? 공제 가능한 경우, 소득공제 기준, 필요 서류까지 정리해봤다.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우리의 최대 관심사는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을까?'가 아닐까

 특히 자동차 구매한 사람은 소비가 확 늘어서 이것도 연말정산이 될까 묻는경우가 많다.

 결론부터 말하면, 가능하다.

돼요!!!


1. 중고차 연말정산, 왜 인정되는 거야

 중고차는 현금영수증 의무 발행 업종이다.

 

중고차 현금영수증 의무 발행 업종

중고차를 현금으로 구매한 후 현금영수증을 받아야 한다. 중고차 현금영수증은 받을 수 있는 게 아니다. 받는거다. 그냥 받는 거다. 근데 다운계약서를 주의하자 현금영수증 처리하려면 10% 부가

knownow.tistory.com

 신용카드 소득공제 혜택도 적용되고 현금으로 구매해도 되고 뭐 대출을 받든 뭘 하든 암튼 구매하고 그걸 증빙만 할 수 있으면 된다.

 

📌 핵심 포인트:

  •  지출을 증빙할수만 있다면 적용가능
  •  현금/신용카드/체크카드 등으로 결제시 소득공제 대상
  •  차량등록일 기준이 아닌 구매일 기준 적용

즉, 어떻게든 구매를 하고 판매자가 사업자 등록된 곳이라면 공제 대상이 된다.


2. 공제율은 얼마나 될까

 중고차는 일반 소비재에 비해 공제율이 낮다.

 다만 무시할 수준은 아니니 얼마나 되는지 확인 해 보자.

  공제율 한도
중고차 구매 시 10% 연간 소비 금액이 총 급여의 25% 이상일 경우, 중고 자동차 구입 금액의 10%(최대 300만 원)
공제 대상 금액 차량 금액 전체 X 결제액 기준

 

➡️ 1년 동안의 지출액이 연봉의 25%이상일 때 적용받을 수 있다.

 예를들어,

 연봉 3,000만 원이라면 1년간 약 750만 원이상 지출해야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조건을 충족시켰을 경우,

 중고차 거래금액이 2,000만 원이라고 할때 그 금액의 10%인 200만 원만 공제 대상 금액으로 잡힌다.

 이 때, 결제 수단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지는데, 결국 공제 대상금액에서 공제율을 곱한 값을 공제받는다.

 

 ➡️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30% / 신용카드 15%

200만원의 30%인 60만원 / 200만원의 15%인 30만원.


반응형
728x90

3. 이런 중고차는 공제 대상이 아니다.

 아무 차량이라고 되는게 아니다.

 정확히는 아무렇게나 구입한다고 되는게 아니다.

  •  개인 간 거래(직거래, 당근마켓, 중고나라 등)
  •  판매자가 사업자 등록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
  •  현금으로만 거래하고 증빙이 없는 경우
  •  리스 차량, 회사차로 구입한 경우
  •  세금계산서 미발급 시

👉 즉, 중고차 매매 상사 등 공식 사업자와의 거래가 매우 중요해 지겠다.

그리고, 현금영수증 의무 발행 직종이오니 꼭 확인해라.


4. 연말정산 시 챙겨야 할 서류

기본적으로 자동화되어 있어서, 정상적인 상사에서 구매 했다면 따로 신경 쓸 필요 없이 자동으로 된다.

  •  신용카드 사용 내역(국세청 자료 자동 반영)
  •  차량 구매 영수증(카드 전표, 현금영수증 등)
  •  매매계약서 사본(사업자 정보 확인용)
  •  차량 등록증 사본(필요시)

서류가 자동 반영되지 않은 경우 직접 제출해야 할 수도 있다.


🙋‍♂️ FAQ

Q1. 부모님이 제 명의로 중고차를 사주셨어요. 연말정산 되나요?

👉 아니오.
카드 결제자와 연말정산 대상자가 동일해야 한다.

 

Q2. 신차도 되나요?

👉아니오.
중고차만 된다. 게다가 현금영수증 의무 발행 업종이다. 공제율 동일하다.

 

Q3. 중고 오토바이도 연말정산 되나요?

👉아니오.
오토바이는 도로교통법상 자동차가 아니므로 대상이 아니다.


중고차도 소득공제 된다.

아니, 중고차만 된다.

왜인진? 몰?루

하지만 아무 중고차나 되는게 아니니 결제방법을 꼭 확인하자.

누구에게 샀느냐가 중요하니까

사업자를 통해 구매하도록 하자.

개인간 직거래는 결국 총 비용은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본인이 뭐가 이득인지 소득공제여부도 고려해 보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