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리가궁금한정보/도로 위 이야기34

차선 변경 사고, 누가 먼저 꺾었나가 중요한가? 차선 변경 중 사고, 누가 먼저 방향지시등을 켰는지가 과실을 가를까? 제발 운전자 여러분 깜빡이좀 켜고 운전하세요. 방향지시등 미점등 과태료 대상입니다. 깜빡이만 켜도 날 사고 안나고~ "내가 먼저 깜빡이 켜고 진입했는데 왜 내 과실이 더 커?" "상대방이 끼어들기 시도한 거 아닌가요?" 차선 변경 중 사고에서는 누가 먼저 꺾었나보다, 누가 주의의무를 제대로 지켰나가 더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차선변경 사고 자체가 양측이 뽀뽀한거라 과실이 산정되기까지가 꽤나 복잡하다. ✅ 진입 차량이 주의의무를 더 많이 진다.차선 변경하려는 차량은 기존 차선주행 차량을 방해해선 안된다. 내가 2차로에서 1차로로 가고자 할 때 기존 1차로에 주행하고 있던 차량이나 이미 주행중인 차량, 달려오고 있는 차량 등 막.. 2025. 4. 26.
앞차가 갑자기 서서 후방을 박았다. 그래도 내 잘못이 크다. 급정거 후미추돌 후방추돌은 교통사고 비율중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후방추돌 자체는 그냥... 뒷차의 안전운전 부주의라고 본다. 내 입장은 그렇다. 통계청, 보험개발원 자료에 따르면 전체 자동사 사고 중 약 30%가 후방추돌 사고라고 한다. 팩트체크는 아직 안되었구요 아무튼 후방추돌은 굉장히 빈번한 사고다. 특히 일상 운전 중, 시내 주행, 정체 구간에서의 후방추돌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단순 부주의라고 치부하기엔 생각보다 복잡하다.✅ 후방추돌이 많은 이유 운전 중 멈추는 순가에 가장 많은 리스크가 몰려온다. 정체 구간 중 갑작스러운 정차 신호등 직전 급감속(딜레마존) 앞차의 이유 없는 급정거 핸드폰 보는 등 전방주시 태만 결국 후방추돌은 앞차를 잘 안보거나 앞차의 패턴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하기 쉽다. 중요.. 2025. 4. 26.
앞차가 급정거했는데 내 과실 80%? 뒷빵이 무조건 뒤차과실은 아닐수도 있다 갑자기 멈춘 앞차, 박으면 뒷차 과실? 급정거의 판단 기준과 과실 비율 산정 원칙을 보자. 운전 중 이런 상황 꽤 많다. 뭐 길 잘못들어서 급하게 빠져나가야 하는데 놓쳐서 급정지 하고 차도를 횡단하는차도 있고 아주 난장판이다. 신났다 아주그냥 "앞차가 갑자기 급정거하면서 들이 받았는데, 보험사가 내 과실이 더 크다고 한다?" 근데 이건 억울해도 현실이 이렇다. 자동차 사고에서 "앞차 급정거"가 있더라도, 뒷차가 무조건 과실을 갖는 구조는 실제로 존재한다. 어메이징. 결국 이런 사고를 피하기위해선 똥을 피하듯 내가 조심해야 한다. 지뢰같은놈들을 피하라고. ✅ 후미 추돌사고 기본원칙뒷차가 주의 의무를 갖는다. 현행 도로교통법과 판례에 따르면, 차량 간의 충돌에서 후방 차량은 '안전거리 유지' 의무를 지닌다.. 2025. 4. 26.
우회전 개정안 다시 짚고가자. 아무것도 없는데 멈춰있지 말자. 🚦 우회전 일시정지 의무화? 우회전 규정과 벌금 기준 확인하자. 운전을 하다보면 가장 자주 마주치는 교차로. 귀신이라도 봤는지 멀뚱멀뚱 멈춰있는 차량 보면 한 편으로 답답할 수도 있다. 정확한 우회전 방법을 숙지하지 못하여 과태료를 납부하거나 도로 흐름을 꽉 막아버리는 차량을 빈번하게 볼 수 있다. 골목에서 우회전해서 나가는데 좌깜빡이를 켜는 사람도 있고, 이건 깜빡이를 켠다는게 감사해야하는건가... 아무튼 우회전.! 고놈의 우회전! 오늘은 정확한 우회전 방법 다시 한 번 상기 시키고 가자. 보행자가 있으면 멈춰야지 당연히. 근데 언제까지 멈춰있을거냐고 1. 개정된 우회전 법규 그럼 언제까지 멈춰 있어야 하는지 알아보자. 우선 일시정지는 어떤 상황에서든 필요하다는것을 우선 알린다. 2023년인가 개.. 2025. 4.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