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가궁금한정보/도로 위 이야기

차선 변경 사고, 누가 먼저 꺾었나가 중요한가?

by 느낌거리 2025. 4. 26.
반응형

차선 변경 중 사고, 누가 먼저 방향지시등을 켰는지가 과실을 가를까?

 

 제발 운전자 여러분 깜빡이좀 켜고 운전하세요.

 방향지시등 미점등 과태료 대상입니다.

제발!!!

 

 깜빡이만 켜도 날 사고 안나고~

너무 피곤하댄다

 "내가 먼저 깜빡이 켜고 진입했는데 왜 내 과실이 더 커?"

 "상대방이 끼어들기 시도한 거 아닌가요?"

 차선 변경 중 사고에서는 

 누가 먼저 꺾었나보다,

 누가 주의의무를 제대로 지켰나가 더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차선변경 사고 자체가 양측이 뽀뽀한거라

 과실이 산정되기까지가 꽤나 복잡하다.


 ✅ 진입 차량이 주의의무를 더 많이 진다.

차선 변경하려는 차량은 기존 차선주행 차량을 방해해선 안된다.

차선 변경 진로변경 금지

 내가 2차로에서 1차로로 가고자 할 때

 기존 1차로에 주행하고 있던 차량이나 이미 주행중인 차량, 달려오고 있는 차량 등

 막아서는 안된다. 

 쉽게 생각해서 그들이 브레이크를 잡게 만들면 안된다고 이해하면 된다.

 

잘 가고 있는데 옆에서 끼어드는 차량.

 어떻게 보면 

 기존 차로 차량은 기득권이 있다.

 차로를 변경하는 쪽이 새로운 위험을 발생시키는게 분명하기 때문.

 

 즉, 먼저 깜빡이를 켰든, 먼저 방향을 틀었든

변경하는 쪽이 기존 차량의 진행을 방해하거나 충돌하게 하면 과실이 크다는 것.


반응형
728x90

"누가먼저 꺾었냐" 보다 "누가 충돌을 유발했냐"가 중요하다.

깜빡이 켰다고, 핸들 먼저 틀었다고 이기는게 아니고.

 실제 과실 비율 산정은 이렇게 본다.

  •  깜빡이를 켰는지
  •  방향전환 시 상대 차량과 충분한 거리를 뒀는지
  •  급격한 차선 변경은 없었는지
  •  상대 차량이 피할 수 있었는지

차선변경 중 안전거리 확보
안전거리 확보는 차선 변경시에도 적용된다.

 결과적으로 꺾은 시점보다는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으로 들어갈 때에 안전하게 들어갔냐가 중요하겠다.


✅ 그럼 깜빡이 켰는데도 손해 볼 수 있냐?

 깜빡이는 비상등 남발하는 사람들처럼 무적버튼이 아니다.

차선변경 시 깜빡이를 켜야한다.

 다만 차선변경시 반드시 깜빡이를 켜야한다는 규정이 있기에,

 깜빡이를 켜고, 충분히 거리를 두고, 정상적으로 차선변경했다면

  •  상대 차량이 과속하거나
  •  고의로 못들어오게 막거나
  •  방어운전을 하지 않은경우

상대방의 과실 비율이 더 커질 수 있다.

 

즉, 깜빡이를 켰을 때 "예방 가능성"과 :"상대방 행동"도 함께 평가하는 구조가 된다.

 깜빡이를 켰다는것 자체가 상대차량이 들어오겠다는거고

 그것을 본 기존차선의 운전자가 어떤 행동을 취할지.

 모두가 과실산정 기준이 된다.

 

 그리고... 깜빡이 켜면서 핸들동시에 틀면서 들어오는 사람들 태반인데

 깜빡이는 미리 켜고 신호를 주고,

 거리가 확보되면 들어오는거다..

 다 알지..?


💡 상황을 예를 들어 보자.

동시차선변경 사고

 상황  과실비율
 변경차량 급차선변경 + 추돌  변경차 80%, 직진차 20%
 변경차 천천히 변경 중 직진차 과속으로 충돌  변경차 40%, 직진차 60%
 변경차 정상 변경 중 직진차 고의진로방해   변경차 30%, 직진차 70%

 차선변경하고자 하는 차량이 급하게 들어갔는지

 vs

 그것을 본 직진차가 방어운전을 얼마나 행했는지

 이 두가지를 비교하여 최종 과실을 정하게 된다.


 ✅ 차선 변경 사고 시 기억할 핵심

  안전운전 여부

  •  깜빡이를 켰다고 무조건 보호받는게 아니다.
  •  안전거리, 속도, 급격성 여부가 결정적.
  •  블랙박스 영상은 필수 (상대방이 피할 여유가 있었는지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특히 블랙박스 내에

 상대방이 일정속도로 오고 있었는지,

 내가 천천히 진입했는지가 남아야 내 과실 비율을 줄일 수 있다.


 차선변경 사고는 결국

 누가 먼저 들어왔냐는 '순서' 보다는

 누가 '안전'하게 들어왔냐의 문제다.

 누가 '충돌을 예방할 충분한 조치를 했는가'가 핵심이 되겠다.

 이를 기준으로

 깜빡이 유무, 거리두기, 급격성 여부, 상대방 회피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결국 상대 차량이 내가 들어오는걸 보고도 '어 안끼워줘~'마인드로 막아버린게 보이면 

 상대차 과실은 더 높아질 것.

 일방은 힘들듯 ㅎㅎ.

반응형

댓글